2025년 4월, Apache Software Foundation(ASF)은 Apache Roller 블로깅 플랫폼에서
비밀번호 변경 이후에도 기존 세션이 종료되지 않는 중대한 보안 취약점을 패치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 취약점은 버전 6.1.4 이하에서 발생하며,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바꿔도 이전 세션이 여전히 유효한 상태로 남아 공격자가 지속적인 접근을 할 수 있게 합니다.
"패스워드 변경이 무의미해지는 위험한 상황"
– ASF 보안 공지 중
🧠 CVE-2025-24859: 세션 만료 실패란 무엇인가?
이 취약점은 Insufficient Session Expiration(세션 만료 불충분) 유형입니다.
📌 요약
- 패스워드를 변경하거나 계정을 비활성화하더라도
- 기존 로그인 세션(쿠키 등)이 만료되지 않고 계속 유지됨
- 공격자가 이전 세션을 가지고 있으면 계속 접근 가능
⚠️ 시나리오 예시
- 공격자가 세션 탈취(Session Hijacking) 수행
- 사용자가 이를 눈치채고 비밀번호 변경
- 하지만, 세션은 그대로 → 공격자는 여전히 시스템 내에 있음
- 블로그 게시글 수정, 삭제, 관리자 접근까지 가능
🚨 어떤 위험이 있는가?
Apache Roller는 단순한 개인 블로그가 아닙니다.
- ✅ 멀티 사용자 지원: 수천 개의 블로그 호스팅 가능
- ✅ 그룹 블로그 기능: owner / editor / drafter 권한 존재
- ✅ 템플릿/검색 기능 포함
즉, 다음과 같은 고위험 시나리오가 가능합니다:
공격 방식 | 설명 |
🔐 관리자 세션 탈취 | 조직 블로그 전체 통제 가능 |
✏️ 콘텐츠 변조 | 기존 게시글 악의적으로 변경 또는 삭제 |
📄 민감 정보 접근 | 작성 중인 초안, 미공개 문서 유출 가능 |
🧭 권한 우회 | 드래프터 → 오너로 수직 상승 가능성 |
MITRE는 이와 같은 세션 만료 취약점이
공공장소(PC방, 공유 컴퓨터 등)에서의 보안 위협을 더욱 키울 수 있다고 경고합니다.
🛠 ASF의 대응: 버전 6.1.5에서 '중앙 세션 만료 관리' 도입
ASF는 이번 보안 이슈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조치를 취했습니다:
✅ 패치 적용 범위
- Apache Roller 6.1.5 이상부터 적용
- 패스워드 변경 또는 계정 비활성화 시 → 모든 활성 세션 자동 만료
🧪 기존 세션 무효화 절차
- 로그인 세션 무효화
- 쿠키 폐기
- 액세스 토큰 강제 종료
🧾 Apache Roller 과거 주요 취약점
CVE ID | 유형 | 설명 |
CVE-2018-17198 | SSRF | 내부 요청 및 민감 파일 노출 가능 (CVSS 9.8) |
CVE-2019-0234 | Reflected XSS | 악성 스크립트 삽입 가능 |
CVE-2021-33580 | HTTP 헤더 오류 | DDoS 공격 가능성 |
CVE-2024-25090 | XSS | 인증된 사용자가 악성 코드 삽입 가능 |
CVE-2025-24859는 2018년 이후 가장 치명적인 Roller 보안 이슈로 평가됩니다.
🛡 대응 전략: Apache Roller 운영자라면 꼭 해야 할 일
✅ 1. 최신 버전(6.1.5 이상)으로 업데이트
- 관리자/운영자는 즉시 버전 확인 후 업그레이드 필수
✅ 2. 수동 세션 무효화 도구 사용
- 패치 전까지는 session.invalidate() 같은 수단으로 강제 종료 구현
✅ 3. 세션 쿠키의 보안 속성 확인
- Secure, HttpOnly, SameSite 속성 적용 여부 점검
✅ 4. 관리자 로그인 알림 기능 도입
- IP, 지역이 다를 경우 알림 발생 → 침해 탐지 가능
🔐 결론: 비밀번호만 바꾼다고 안전해지는 시대는 끝났다
현대 보안의 핵심은 세션 관리입니다.
공격자는 사용자의 패스워드를 몰라도,
세션 하나만 탈취하면 전체 시스템을 무력화할 수 있습니다.
Apache Roller처럼 멀티 유저를 지원하는 플랫폼에서는
1명의 세션 유출이 수백 개 블로그를 장악할 수도 있습니다.
'CyberSecurity > Securi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 AI의 ‘속삭임’ 문제, 이제야 잡을 수 있을까? (1) | 2025.04.17 |
---|---|
🛡 CVE 프로그램, 끊길 뻔했다 (0) | 2025.04.17 |
⚠️ AI 환경의 ‘기본값’ NVIDIA, 취약점 악용 가능성 커져 (0) | 2025.04.17 |
🔓 CVE-2025-24054: 작지만 치명적인 NTLM 해시 유출 취약점 (0) | 2025.04.17 |
🎯 AI 도구를 활용한 피싱, 이제는 ‘프레젠테이션’까지 이용한다 (2) | 2025.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