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 리눅스에서 cron과 at 접근제어 설정 방법 및 보안 취약점 알아보기!
·
knowledge🧠/Linux🐧
안녕하세요 😊 오늘은 리눅스에서 자주 사용하는 스케줄링 도구인 cron과 at의 접근 제어 설정에 대해 이야기해볼게요. 시스템에서 특정 사용자만 사용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왜 중요한지, 그리고 설정 파일이 없을 경우 어떤 보안 취약점이 생기는지도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cron과 at이 뭐예요?cron: 정해진 시간마다 반복적으로 명령어나 스크립트를 자동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도구예요.          예를 들어, 매일 새벽 2시에 백업 스크립트를 실행하는 식이죠.at: 한 번만 실행되는 예약 작업을 설정할 수 있는 도구예요.     “지금은 바쁘니까, 2시간 뒤에 이 스크립트 실행해줘!”라고 할 수 있죠.이 두 도구는 시스템 자동화에 정말 유용하지만, 아무나 사용하게 해두면 보안에 큰 구멍이 생길..
X-Forwarded-For 헤더란 무엇이고, 어떻게 차단할 수 있을까? 🤔
·
CyberSecurity/Security🔐
아래 내용은 카카오톡 단체 대화방인 '보안꾼'에서 나온 질의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웹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통신에서 사용되는 HTTP 헤더 중 하나인 X-Forwarded-For는 원래 클라이언트의 IP 주소를 전달하기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하지만 악의적인 사용자가 이를 변조하여 IP 접근을 우회하거나 공격을 시도하는 경우가 있어 보안적으로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오늘은 X-Forwarded-For 헤더의 역할과 이를 안전하게 차단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X-Forwarded-For 헤더란? 📜X-Forwarded-For는 클라이언트가 프록시나 로드 밸런서를 거쳐 서버에 요청을 보낼 때, 원래 클라이언트의 IP 주소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HTTP 헤더입니다.예시:헤더 값..