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이 생성한 코드 안에 존재하지 않는 제3자 라이브러리가 무더기로 포함되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이 현상은 단순한 오류를 넘어, 악성 패키지를 주입해 공급망 전체를 감염시키는 치명적인 보안 위협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이른바 "패키지 환각(package hallucination)" 현상, 지금부터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 패키지 환각이란?
패키지 환각이란 LLM(대형 언어 모델)이 존재하지 않는 라이브러리나 종속성(dependency)을 코드에 삽입하는 현상을 뜻합니다.
해당 연구는 16개의 대표적인 LLM 모델을 대상으로 총 57만 개 이상의 코드 샘플을 생성한 결과,
무려 44만 개 이상(약 20%)이 존재하지 않는 패키지에 의존하고 있다는 사실을 밝혔습니다.
🤯 이게 왜 위험할까?
이 현상은 단순한 AI의 실수가 아닙니다.
공격자들은 LLM이 반복적으로 '환각'하는 패키지명을 포착해, 그 이름으로 악성 코드를 배포할 수 있습니다.
개발자가 이를 무심코 설치하면?
→ 공격자의 악성코드가 시스템 안에서 실행됩니다.
🧬 소프트웨어 공급망 공격, 이렇게 이루어진다
이 공격 방식은 Dependency Confusion(의존성 혼동) 기법의 연장선에 있습니다.
📌 공격 흐름 요약:
- LLM이 '존재하지 않는 패키지명'을 포함한 코드를 생성
- 공격자는 그 패키지명을 그대로 사용해 악성 패키지를 공식 저장소(NPM, PyPI 등)에 업로드
- 개발자는 코드 리뷰 없이 그대로 해당 패키지를 설치
- 시스템 내부에서 악성 행위 수행 (데이터 탈취, 백도어 설치 등)
2021년에는 이와 비슷한 기법이 실제로 Apple, Microsoft, Tesla와 같은 기업 시스템에서 검증된 바 있습니다.
📊 연구 결과 요약
- 총 2,230,000개의 패키지 참조 중 440,445개가 환각
- 이 중 약 46%는 반복적으로 등장 (단순 오류가 아니라 일관된 출력)
- 205,000개 이상의 고유한 패키지명이 존재하지 않음
- Open-source LLM의 환각률: 21.8%
- 상용 모델(예: ChatGPT) 환각률: 5% 내외
- JavaScript 코드에서 더 많은 환각 발생 (21.4%)
→ Python(15.7%) 대비 높음
📌 반복되는 환각, 공격자의 ‘기회’로 작용
연구팀은 다음과 같이 강조합니다:
“전체 환각 패키지의 58%는 동일한 이름이 10번 이상 반복되어 출력되었습니다.
이는 무작위 실수가 아니라 모델이 학습한 잘못된 지식이 고정적으로 재현되는 위험한 현상입니다.”
이 말은 곧, 공격자 입장에서 LLM이 자주 언급하는 ‘가짜’ 패키지명을 리스트업해,
해당 이름으로 악성 코드를 배포하면 수많은 개발자가 속을 수 있다는 뜻입니다.
🔍 왜 JavaScript가 더 위험할까?
연구에 따르면, JavaScript는:
- 패키지 수가 많음 (Python보다 10배 이상)
- 네이밍 충돌 및 네임스페이스 복잡도가 높음
이러한 구조적 특징 때문에, LLM이 정확한 패키지를 기억하지 못하고 환각할 확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보입니다.
⚠️ 개발자가 지금 당장 취해야 할 대응책
AI 기반 개발 시대에서 살아남기 위한 보안 체크리스트:
✅ 환각 패키지 대응 가이드
- 🔍 AI가 생성한 코드에서 설치 명령어는 항상 수동 검증
- 📦 PyPI, NPM 등의 저장소에서 패키지 존재 여부를 직접 확인
- 🧠 패키지 설명, 메인테이너, 최근 업데이트 내역까지 체크
- 🧰 허용된 패키지 리스트 기반의 SCA(Software Composition Analysis) 도구 활용
- 🔐 Dependency Confusion 방지용 private registry 구성 고려
- ⚙️ CI/CD 파이프라인에서 자동 검증 추가
🧠 결론: LLM의 '정답'을 맹신하지 말자
패키지 환각 현상은 단지 ‘AI의 실수’가 아닙니다.
이는 공급망 보안에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구조적 취약점입니다.
앞으로 수년 내 AI가 전체 코드의 95%를 생성할 것이라는 예측이 맞아 떨어진다면,
이러한 환각은 단순한 문제를 넘어 사이버 공격의 진입로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 결국 AI의 도움은 개발자의 ‘경계심’과 함께할 때에만 안전한 무기가 될 수 있습니다.
'CyberSecurity > Securi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비밀번호 바꿔도 로그인 가능?”…윈도우 RDP의 위험한 허점 (3) | 2025.05.01 |
---|---|
🎧 “AirBorne”: AirPlay 기능이 사이버 공격 통로가 된다면? (2) | 2025.05.01 |
🐼 Billbug, 동남아 정부기관 노린 중국 APT의 진화된 첩보전 (2) | 2025.05.01 |
🧙♂️ TheWizards APT의 'Spellbinder' 캠페인… IPv6로 감쪽같이 마법을 건다 (0) | 2025.05.01 |
🛰️ 우주 자산도 해킹당한다? 위성 해킹의 현실과 보안이 주는 교훈 (1) | 2025.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