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보안 연구진이 발견한 새로운 공격 방식인 ‘Cookie Bite(쿠키 바이트)’가 기업 보안 담당자들 사이에서
뜨거운 화제가 되고 있어요.
이 공격은 Microsoft의 Azure Entra ID를 사용하는 기업을 대상으로 하며,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훔쳐*MFA(다단계 인증)마저 우회해버리는 매우 정교한 수법이랍니다. 😨
🕵️♀️ 쿠키 바이트란?
Varonis Threat Labs라는 보안 연구팀이 이 공격을 발견했어요.
공격자는 Microsoft 365 환경(Outlook, Teams 등)에 로그인한 사용자의 세션 쿠키를 훔쳐서,
로그인한 것처럼 가장하고 시스템에 몰래 접근하는 방식이에요.
이때 노리는 쿠키는 두 가지예요:
- ESTSAUTH: 로그인 세션을 유지하는 임시 쿠키
- ESTSAUTHPERSISTENT: 브라우저를 닫아도 유지되는 영구 쿠키
이 쿠키들이 바로 사용자의 ‘접속 증명서’인 셈인데,
공격자가 이를 훔치면 비밀번호나 인증 코드를 몰라도 그대로 로그인할 수 있어요.
즉, MFA를 무력화시킬 수 있다는 거죠! 😱
🧑💻 공격 방식은 어떻게 이뤄질까?
Varonis는 실제로 이 공격을 증명하기 위한 PoC(개념 증명)을 만들었어요.
이 공격에는 다음과 같은 단계가 있어요:
- 악성 브라우저 확장 프로그램 설치: 사용자가 속아서 악성 확장을 설치하면,
- PowerShell 스크립트로 자동 실행: 브라우저가 열릴 때마다 쿠키를 훔치도록 자동화됨,
- 쿠키 탈취 후 외부 서버로 전송: 탈취한 쿠키는 공격자에게 전송되고,
- 공격자는 탈취한 쿠키로 시스템에 로그인: 합법적인 사용자처럼 행동할 수 있음.
이 과정은 정말 쉽고 은밀하게 진행되기 때문에, 일반적인 백신이나 보안 솔루션으로 탐지하기 어렵다고 해요. 😓
⚠️ 왜 위험할까?
쿠키 바이트 공격의 무서운 점은 다음과 같아요:
- MFA를 우회할 수 있음 → 기존 보안 수단이 무력화됨
- 정상 사용자로 위장 가능 → 이상 탐지도 어려움
- 영구 접근 권한 확보 → 쿠키가 바뀌지 않는 한 계속 침투 가능
- 권한 상승, lateral movement(횡적 이동)까지 가능 → 조직 전체 위협으로 확산
게다가 이 공격은 악성 코드 설치 없이 단순 스크립트만으로 가능해서, 전통적인 보안 솔루션의 탐지망을 빠져나가기 쉽다고 해요.
🛡️ 우리가 해야 할 보안 조치
이런 공격에 대비하기 위해선 다음과 같은 조치가 중요해요:
- 브라우저 확장 프로그램 허용 정책 설정: Chrome의 ADMX 정책을 통해 ‘허용된 확장 목록’을 설정해두면,
악성 확장이 설치되는 걸 방지할 수 있어요. - Microsoft 리스크 기반 로그인 탐지 활성화: 이상 징후가 있는 로그인 시도를 탐지해줍니다.
- 사용자 행동 모니터링: 정상적인 유저처럼 보이는 행동이라도 분석해 탐지할 수 있는 EDR/MDR 도입이 필요해요.
- 정기적인 보안 교육: 브라우저 확장 프로그램이나 수상한 링크, 스크립트를 경계하도록 구성원들을 교육해야 합니다.
- 로그 아웃 자동화 또는 쿠키 만료 관리: 일정 시간 이후 자동 로그아웃 설정도 중요해요.
💬 마무리: MFA 있다고 안심은 금물!
이제는 단순히 MFA만으로는 부족한 시대예요.
쿠키 탈취 → MFA 우회 → 지속적 내부 침투까지 이어지는 ‘Cookie Bite’ 같은 고급 공격을 막기 위해선,
사용자 행위 기반 보안과 정밀한 브라우저 정책 설정이 필수입니다.
작은 보안 구멍 하나가 기업 전체의 정보 유출로 이어질 수 있다는 걸 잊지 마세요. 🔐
'CyberSecurity > Securi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로그인으로 침투하는 해커들? IBM X-Force가 밝힌 사이버 공격 트렌드 2024 (0) | 2025.04.23 |
---|---|
🔐 마이크로소프트의 보안 대개편! Secure Future Initiative 진짜 효과 있을까? (0) | 2025.04.23 |
💻 DOGE 밈이 담긴 랜섬노트? Fog 랜섬웨어가 다시 돌아왔다! (0) | 2025.04.23 |
🎯 'Elusive Comet'의 정체는?(ft. 비트코인) (0) | 2025.04.23 |
🎯 중소기업이여, 당신도 국가 해커의 타겟입니다! (3) | 2025.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