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뉴스는 영화에서나 나올 줄 알았는데요...
2024년 3월 24일, The Atlantic의 편집장 제프리 골드버그가 믿기 힘든 사실을 폭로했습니다.
미국 국방장관이 비밀 군사작전을 Signal 메시지로 보냈고,
그 내용을 받은 사람이 다름 아닌 언론인 본인(!)이었다는 겁니다.
📱 그 메시지에는 예멘의 후티(Houthi) 반군을 상대로 한 공습 계획이 담겨 있었고,
실제로 약 2시간 후에 공격이 실행됐다고 해요.
믿기 힘드시죠? 그런데 이게 전부가 아니랍니다… 😨
🧨 국방장관이 왜 언론인한테 작전 계획을 보낸 걸까?
골드버그는 3월 15일 오전 11시 44분(미 동부시간)에 이 메시지를 받았고,
채팅에는 현직 미국 정보기관 요원의 실명과 민감한 군사 전략 내용도 포함되어 있었다고 밝혔습니다.
이 그룹 채팅에는 미국 고위 인사들이 다수 참여했는데요:
- 국가정보국장 툴시 개버드
- CIA 국장 존 래트클리프
- 부통령 JD 밴스
- 국무장관 마르코 루비오
- 그리고... 기자 제프리 골드버그? 😳
이 대화에 자신이 속해있다는 걸 인지한 골드버그는 결국 스스로 채팅방을 나갔다고 해요.
미디어 자동 먼지비움 스테이션 무선청소기 + 추가 더스트백 MP08KRGY-DS - 스틱청소기 | 쿠팡
쿠팡에서 미디어 자동 먼지비움 스테이션 무선청소기 + 추가 더스트백 MP08KRGY-DS 구매하고 더 많은 혜택을 받으세요! 지금 할인중인 다른 스틱청소기 제품도 바로 쿠팡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www.coupang.com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 Signal, 정말 안전한 걸까?
Signal은 종단 간 암호화를 제공하는 오픈소스 메신저로, 기자, 활동가, 시민의 프라이버시 보호에 특화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이번 사건에서 문제가 된 건 Signal 자체의 보안이 아니라, 그 용도를 완전히 벗어난 사용이에요.
📢 EPIC(전자 프라이버시 정보센터)의 보안 전문가 칼리 슈뢰더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Signal은 군사 작전을 논의할 수준의 보안을 갖춘 앱이 아닙니다. 정부 승인 장비에서 사용하는 것도 금지되어 있어요."
그 말은 즉, 이들이:
- 개인 휴대폰에서 기밀 내용을 주고받았거나
- 정부 장비에 승인되지 않은 앱을 설치해서 사용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겁니다.
둘 중 어느 쪽이든… 국가 안보 관점에서는 끔찍한 보안 실패예요. 😓
🕳️ 구멍 뚫린 작전 보안, 이 정도였다고?
보안전문가들은 이 사태를 두고 "현대 역사상 가장 심각한 OPSEC(작전 보안) 실수 중 하나"라고 평가합니다.
특히 문제가 된 부분은 다음과 같아요:
- 대통령 안보보좌관이 잘못된 연락처를 그룹채팅에 초대
- 민감한 내용을 일반 메신저에서 공유
- 대화 참여자 중 아무도 낯선 번호가 있다는 걸 인지 못함
- 대화 내용은 자동 삭제 설정
이건 마치 전쟁 명령서를 쓰레기통에 던져놓고, "자동으로 태워지니 걱정 마세요~" 하는 수준이라고요… 😫
🧑⚖️ 법적 문제도 존재한다
정부 문서 보관법에 따르면, 중요한 정책 결정이나 군사 작전과 관련된 대화는 반드시 기록되어야 합니다.
하지만 Signal의 자동 삭제 메시지 기능과 개인 기기 사용은 이 법을 정면으로 위반할 수 있어요.
👉 그러니까, “기록도 안 남기고, 기자를 잘못 초대해서, 실시간 전쟁 계획을 공유했다”는 말이 되는 거죠.
🛑 전문가들의 경고: "Signal 책임 아니다"
Signal의 전 개발자 프레데릭 제이콥스는 Mastodon에서 이렇게 말했어요:
“Signal은 시민과 언론인을 위한 앱이지, 군사 작전을 위한 게 아닙니다.”
그 외에도 보안 전문가 매튜 그린은 Signal이 너무 많은 요구를 받고 있다고 지적했어요.
Signal은 기본적으로 일반 사용자용 메신저인데, 점점 더 국가급 보안을 요구받는 상황이라는 거죠.
📌 요약하자면: 문제는 앱이 아니라, 사용법에 있다는 겁니다.
🚨 TL;DR (한 줄 요약)
👉 미 국방부 고위 인사들이 Signal로 전쟁 계획을 공유하던 중,
기자를 실수로 초대해서 정보 유출 사고가 터졌어요.
이건 보안 수준이 대학생 동아리보다 낮은 수준의 치명적 실수로,
Signal의 잘못이 아닌 사용자들의 무지와 무책임이 문제입니다.
'CyberSecurity > 해외🌍'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중국발 신종 '태그 결제 사기', 미국에서 적발! 🔐 (2) | 2025.03.27 |
---|---|
🧬 유전자 정보 유출될까? 23andMe 파산 소식에 커지는 보안 우려 😨 (0) | 2025.03.26 |
🕵️♂️ USB로 시작해 러시아 정부까지? ‘Raspberry Robin’의 진화가 심상치 않다! (0) | 2025.03.26 |
🇨🇦 캐나다 해커, Snowflake 고객 165곳 공격 혐의로 미국 송환 임박! 🧊💻 (1) | 2025.03.25 |
🐟 FishMonger 해킹 그룹, 전 세계 정부·싱크탱크 겨냥한 'FishMedley' 스파이 작전 🕵️♂️🌐 (1) | 2025.03.25 |